본문 바로가기

조 바이든 대통령3

"바이든/시진핑" 첫 대면 정상회담, [북한의 도발적인 행동을 우려한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수석은 14일 첫 대면 정상회담에서 모든 국제사회는 북한이 책임감 있게 행동하도록 장려하는 데 이해관계가 있다며 대한민국 일본 등 인도/대평양 동맹들에 대한 미국의 방어 의지는 철통 같다고 강조했다. 美 바이든 대통령은 14일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가 열리는 인도네시아 발리에서 시진핑 주석에게 북한의 도발적인 행동을 우려한다며 이같이 말했다고 백악관이 밝혔다. 바이든 대통령이 국제사회라는 표현을 썼지만 실제로는 북한이 7차 핵실험을 포기하도록 시진핑 주석이 김정은 국무위원장을 설득해야 할 책임이 있으니 행동에 나서라고 촉구하면서 이것이 중국의 이해관계에 맞는다고 강조한 것으로 보인다. 조 바이든 미 대통령은 회담 직후 가진 기자회견에서 중국이 북한을 통제할 .. 2022. 11. 15.
[미국의 경고] "中에 고강도 압박" 북한 도발 계속되면 동북아에 미군 증강. 美 백악관이 중국이 북한의 도발을 억제하는데 적극적으로 나서지 않는다면 동북아에서 미국의 군사력을 증강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14일 미/중 정상회담을 앞두고 북한의 도발을 감싸 온 중국을 움직이기 위한 고강도 압박 카드를 꺼내 든 것으로 풀이된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미/중 정상회담에서 직접 이 문제를 거론할 계획으로,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어떤 반응을 내놓을지 주목된다. 美 제이크 설리번 백악관 국가안보 보좌관은 11일 캄보디아로 향하는 에어포스원 기내에서 가진 브리핑에서 바이든 대통령은 시진핑 주석에게 북한이 미국이나 대한민국, 일본뿐 아니라 지역 전체의 평화와 안정에 위협이라는 입장을 전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리고 북한이 계속 이런 길을 걸으면 역내 미국의 군사 및 안보 존재를 더 강화할 .. 2022. 11. 13.
[윤석열 대통령] 한/일, 한/미, 한/미/일 연속 정상회담. ASEAN 관련 정상회의 참석차 캄보디아를 방문 중인 윤석열 대통령이 13일 한/일, 한/미, 한/미/일 정상회담을 연달아 갖는다. 북핵 문제를 비롯한 한반도 정세, 그리고 역내 안보 이슈, 양자 간 주요 현안에 대해 심도 있는 논의가 이어질 예정이다. 대통령실에 따르면 윤석열 대통령은 이날 오후 프놈펜의 한 호텔에서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과 정상회담을 가진다. 이어 한/미/일 3국 정상이 한자리에 모이는 한/미/일 정상회담을 할 예정이다. 한/일 정상회담은 지난 9월 21일 뉴욕 유엔총회 참석 계기에 약식 정상회담을 가진 지 약 2개월 만에 열리는 것이다. 당초 순방에 출발하기 전까지 한/일 정상 회담 개최 여부가 불확실했지만 13일 확정됐다. 최근 북한의 찾은 도발로 역재 .. 2022. 11.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