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I.T 일상 다반사19

화재로부터 해방, "불 끄는 얼음으로 화재 초기에 잡는다". [한국 생산 기술 연구소] 한국 생산기술연구원 해양플랜트기자재연구기자재연구개발센터 이주동 센터장 연구팀은 24일 가스하이드레이트 소화탄 개발을 완료하고 상용화 연구를 추진한다고 밝혔다. 가스 하이드레이트는 저온 고압 상태에서 물 분자 내 메탄이 결합된 결정체다. 물 분자가 기본 골격을 이룬다는 점에서 얼음과 비슷한 구조를 가진다. 메틴 가스가 채워져 있어 불을 붙이면 강한 불꽃을 내뿜는다. 불타는 얼음이라 불리는 이유다. 연구팀은 불타는 얼음을 불 끄는 얼음 형태로 전환했다. 메탄 대신 소화가스를 저장했다. 연구팀은 물 분자가 고압용기 역할을 해 별도의 저장용기 없이도 최소 50배 최대 120배 많은 소화가스 저장이 가능하다며 소화가스가 압축된 고체 형태 가스 하이드레이트는 휴대성, 기동성이 높아 산이나 초고층 건물 등 사람이 접.. 2022. 11. 24.
[달로 간 우주선 오리온] "지구 모습" 담은 사진. 50년 만에 인류를 달에 보내기 위한 아르테미스 프로젝트의 첫 번째 로켓이 16 발사에 성공했다. 미국 항공우주국이 로켓에 탑재된 오리온 우주선이 찍은 사진을 공개했다. 아르테미스 로켓은 대형 발사체 SLS와 그 위에 탑재된 오리온으로 구성됐다. 미 항공우주국은 오리온의 비행 과정을 기록하기 위해 SLS에 8대, 오리온에 16대 등 총 24개의 카메라를 설치했다. 미 항공우주국에 따르면 SLS는 발사 후 약 2시간 후에 오리온을 성공적으로 분리해 달 궤도에 내려놨다. 미 항공우주국은 오리온의 태양 전지 날개 끝에 장착된 카메라가 포착한 지구 영상을 공유했다. 해당 영상은 아르테미스가 발사된 지 약 9시간 후 지구와 9만 2000km 떨어진 지점에서 기록된 것이다. 당시 오리온은 시속 8800km로 이동하.. 2022. 11. 17.
美 항공 우주국, "지구 저궤도 비행 테스트" 9일 발사 했다. 미확인 비행물체를 연상시키는 미 항공우주국이 만든 비행접시가 우주로 발사했다. NASA는 9일 캘리포니아 밴덴버그 우주군 기지에서 지구 저궤도 비행 테스트를 위한 팽창식 감속기를 아틀라스 V 로켓에 발사했다. 외관이 마치 비행접시를 뒤집어 놓은 듯한 팽창식 감속기는 한마디로 우주 낙하산이다. 대기권 진입 시 방열판이 부풀어 오르면서 우주선의 본체를 보호하고 속도를 대폭 줄이는 장치인 것. 이는 가까운 미래에 화성과 같이 대기가 옅고 중력이 약한 행성에 우주선이 착륙할 때 필수적인 기술이다. 이와 비슷한 기술은 지난 2021년 2월 18일 NASA의 탐사 로버 퍼서비어런스가 화성에 내려앉았을 때 확인된 바 있다. 당시 퍼시 비어 런스는 착륙선에 실려 140km 상공에서 화성 대기에 진입했다. 이어 낙하산이.. 2022. 11. 12.
화성에서 생명체 흔적을 찾다. NASA 2021년 2월 화성에 도착한 화성 탐사로 보퍼 서 비어 린스호는 화성에서 Jezero분화구 즉 부채꼴 모양의 분화구는 너비가 45km이다. 약 35억 년 전 호수로 강물이 흘러들면서 형성된 것으로 볼 수 있는 이곳에서 로보 퍼시 비어 린스는 역기서 역대 가장 많은 양의 유기물을 채취했다. 미 항공우주국 NASA은 15일, 퍼시 비어 린스 호는 1M 너비의 퇴적암 Wildcat Rjdge에서 매우 높은 농도의 유기 물질이 포함된 샘플을 확보한 것이다. 샘플 수집을 총괄하는 Shuster 박사는 원래 이번 미션에서 방문하지 않을 장소에서 발견했기 때문에 이번 성과가 상당히 중요하다고 말했다. Skinner Ridge(스키너 산 능선) 근처에 자리한 Wildcat Rjdge는 황산염 광물과 점토로 구성된 세.. 2022. 10. 15.